고객지원

건강정보

서의학이란

엠엑스 2020.11.18 16:10:28

서식 건강법은 일본의 의학박사(서승조)가 자신의 병약한 체질로 연이은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 20년간의 연구로 자신의 건강의 회복과 아울러 서의학 건강법(西 (니시)가 창출해낸 이론을 바탕으로한 의학으로 인간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 이라고 해서 1927년에 세상에 발표 되었습니다.


서의학이 생겨난 기본 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대는 풍요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시대로 의학,의약도 무서울 정도로 진보 발달하고 있습니다. 다만 불치,난치병은 속출하고 있고 병약자는 날로 늘어나고 있는 것이 무엇 때문이겠습니까? 현대인은 자연 정복이라는 불순한 생활에서 자연을 서슴없이 파괴하여 자연 상태의 조화와 질서를 무너뜨리고 농약과 수많은 화학적 식품첨가물에 의하여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고 육식의 식사와 과식,화학약제의 남용에 의하여 만성중독에 빠짐으로써 자기의 생명력을 약화시켜가고 있습니다. 현재의 서구 의학은 건강의 원리를 추구하는 의학이라기 보다는 병자의 여러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약물요법,대중요법을 중심으로 하여 발전해온 치료의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약물에 의해서 증상은 일단 경감 되지만 약물의 부작용에 의한 병 곧 이 생겨나게 되어 그 결과 약의 공해는 산업 공해에 못지 않게 인류의 건강에 중대한 문제를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병이 낫는 것은 의료에 의하기 보다는 오히려 시간의 경과에 의한 자연 치유력 즉, 생체는 一者(유기체)이며 증상은 곧 요법 이라는 관점에서 생체 교유의 자연 양능의 힘 곧 자연치유력을 과학적으로 바르게 증강시켜서 의약에 이ㅡ존하지 않고서 자연으로 체질을 개선하여 모든 질병을 근원적으로 치유하는 것입니다. 현재 이러한 서식요법은 국내,국외에 많은 분들에 의해 환자 치유와 건강증진을 위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전글